시놉시스
교통사고로 인해 브로카 실어증을 앓고 있는 우희.
어느 날, 대한민국에 외계비행물체가 출몰하고 우희는 그림을 통해 비행물체와 소통을 하게 됩니다.
비행물체에 대한 불신과 불안감을 가진 사람들 속에서 그들과 유일하게 소통할 수 있는 우희는 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요?
연출의도
세상을 구하는 길은 가장 어려우면서도 가장 쉬운 곳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한민국에서 20대로 살아가면서, 저에게 가장 지배적인 정서는 불안과 타인에 대한 불신이었습니다.
현재 이 사회에서는 포용, 이해, 믿음의 정서보다는 불신, 불안, 증오와 혐오라는 정서가 더욱 많다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세상은 서로가 서로에게 멸망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멸망에서 세상을 구하기 위해 필요한 믿음은 어떻게 쌓아갈 수 있을까요?
제가 이 영화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불안과 불신의 정서가 무엇인지, 그리고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소통의 중요성 또한 나타내고자 합니다.
나의 진실된 마음이 누군가에게, 아니면 어떤 존재에게 그대로 닿을 수 있을까요?
수상 및 상영 이력
2019 제 4회 충주단편영화제 대학부 본선진출상
2019 제 19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대학부 경쟁부문
2019 제 22회 도시영화제 일반부문
2019 제 9회 충무로단편영화제 청년/대학생부문 본선경쟁
2021 12월 광주독립영화관: 광주 감독 작품 기획전 상영
출연
박크미, 윤동주
시놉시스
교통사고로 인해 브로카 실어증을 앓고 있는 우희.
어느 날, 대한민국에 외계비행물체가 출몰하고 우희는 그림을 통해 비행물체와 소통을 하게 됩니다.
비행물체에 대한 불신과 불안감을 가진 사람들 속에서 그들과 유일하게 소통할 수 있는 우희는 세상을 구할 수 있을까요?
연출의도
세상을 구하는 길은 가장 어려우면서도 가장 쉬운 곳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대한민국에서 20대로 살아가면서, 저에게 가장 지배적인 정서는 불안과 타인에 대한 불신이었습니다.
현재 이 사회에서는 포용, 이해, 믿음의 정서보다는 불신, 불안, 증오와 혐오라는 정서가 더욱 많다고 생각됩니다.
이러한 세상은 서로가 서로에게 멸망을 가져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멸망에서 세상을 구하기 위해 필요한 믿음은 어떻게 쌓아갈 수 있을까요?
제가 이 영화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불안과 불신의 정서가 무엇인지, 그리고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소통의 중요성 또한 나타내고자 합니다.
나의 진실된 마음이 누군가에게, 아니면 어떤 존재에게 그대로 닿을 수 있을까요?
수상 및 상영 이력
2019 제 4회 충주단편영화제 대학부 본선진출상
2019 제 19회 대한민국청소년영화제 대학부 경쟁부문
2019 제 22회 도시영화제 일반부문
2019 제 9회 충무로단편영화제 청년/대학생부문 본선경쟁
2021 12월 광주독립영화관: 광주 감독 작품 기획전 상영
출연
박크미, 윤동주